연구성과

제주 삼나무림 등 분포조사 및 자원화 계획 수립 연구용역

관리자 2023-01-31 조회수 : 188

■ 용역명 : 제주 삼나무림 등 분포조사 및 자원화 계획 수립 연구용역

■ 연구배경

가. 제주도 내 삼나무·편백림은 인공조림지로서 황폐화된 임지를 빠르게 녹화시키는 데 공헌하였으나 꽃가루알레르기, 종다양성 저해 등 사회·환경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므로 벌기령에 도달한 삼나무·편백림의 자원화계획 수립이 요구됨

 

연구목적

가. 제주도 내 삼나무·편백림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여 정확한 삼나무·편백림의 면적 및 자원량을 산출하고, 산출한 자원량을 통해 제주도 내 특성에 맞는 삼나무 경영모델(안)과 적정 대상지를 제시, 도내 목재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최종적으로 제주도의 특성을 반영한 삼나무·편백림 관리를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고자 함

 

연구결과

가. 현장조사 기반의 제주 삼나무림 등 분포조사 결과 최종면적은 삼나무림, 편백림 각각 4,307ha, 972ha로, 기존 5차 임상도 대비 각각 40ha, 110ha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

나. 삼나무림 등 분포 현황도면 기반의 삼나무·편백림의 총 자원량은 994,652㎥ 이며, 삼나무·편백·삼나무혼효림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자원량(가지, 초두부)은 238,727ton, ha당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양은 44.4ton/ha으로 나타남

다. 유형은 적극적 갱신을 통한 자원화(간벌 및 제주형 간벌), 맞춤형 갱신을 통한 자원화(제주형 간벌)으로 구분하여 7개의 산림경영모델 시범사업대상지와 연차별 사업추진계획을 제시함

라. 도내 목재산업활성화를 위한 면담조사 등 현황진단을 통해 안정적인 목재수급방안 마련을 위한 목재산업화센터와 조례제정을 제안함

 

결론 및 제언

가. 도내 삼나무 기준벌기령의 조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, 사유림 30년(동일), 국유림 100년(장벌기 경영으로 유도)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함

나. 시범사업대상지 내 적극적인 사업 수행을 위하여 산림의 주기능을 목재생산림으로 변경하여 기능을 조정하고 이에 따른 변경계획(안)을 마련함